본문 바로가기
로마

중세 전쟁에서의 보병 전술의 진화

by CACACA 2024. 8. 2.

중세 시대의 전쟁은 기병이 주도한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하지만 사실 중세 전쟁에서 보병의 역할도 결코 작지 않았어요. 오히려 시대가 흐를수록 보병의 비중과 중요성은 점점 커졌죠. 이에 따라 보병 전술도 꾸준히 발전하고 진화했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세 보병 전술의 변천사를 주요 사례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영국과 웨일스의 장궁병

장궁의 등장

영국은 중세 초기부터 장궁병으로 명성이 높았어요. 장궁은 웨일스에서 처음 등장했는데, 이후 영국 전역으로 널리 퍼졌죠. 장궁은 기존의 활보다 훨씬 강력했어요. 몇백 미터 밖의 목표물도 정확히 맞출 수 있을 정도로 사거리가 길었죠.

크레시 전투와 아젱쿠르 전투

영국은 백년전쟁 당시 장궁병을 앞세워 프랑스 기사들을 무찔렀어요. 1346년 크레시 전투에서 영국의 장궁병들은 프랑스의 기병 대군을 섬멸했죠. 아젱쿠르 전투에서도 영국군은 진흙탕에 빠진 프랑스군 기병대를 장궁으로 난사해 대승을 거뒀어요. 영국군 장궁병들의 조직적이고 효과적인 운용이 백년전쟁의 판도를 뒤바꾼 셈이죠.

장궁의 한계

하지만 장궁에도 한계는 있었어요. 장궁 숙련에는 오랜 시간이 걸렸죠. 또 궂은 날씨에는 제 성능을 발휘하기 힘들었고요. 그리고 기병 대신 보병이 전면에 나서면서 장궁병들은 접근전에 취약한 모습을 보였어요. 이런 한계 탓에 장궁의 전성기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답니다.

스위스 용병과 장창술

장창 밀집대형의 등장

14세기 후반 스위스에서는 장창으로 무장한 밀집 보병 대형이 등장했어요. 에링겐이라 불리는 장창을 든 보병들이 빽빽한 종대 대형으로 적진을 돌파하는 전술이었죠.

레옹코트 전투와 무르텐 전투

스위스 용병들은 1339년 레옹코트 전투에서 장창술로 오스트리아 기병대를 격파했어요. 이는 중세 기병 중심 전술의 종말을 고하는 상징적 사건이었죠. 1476년 무르텐 전투에서도 스위스군은 장창 대형으로 부르고뉴 공국 군대를 물리쳤어요.

용병의 국제적 명성

스위스 용병들의 무쇠 같은 군기와 강력한 전투력은 유럽 전역에서 명성을 얻었어요. 각국 군주들은 앞다퉈 스위스 용병을 고용하려 들었고, 이탈리아 전쟁에서는 스위스 용병들이 전장을 주름잡기도 했죠.

장창술의 약점

그러나 장창 밀집대형에도 약점은 있었어요. 대규모 인원이 필요했고, 좁은 공간에서는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웠죠. 또한 대포나 소총 등 화기에는 취약했어요. 이런 단점으로 인해 장창술은 중세 후기로 가면서 서서히 쇠퇴하게 됩니다.

테르시오 대형의 등장

창과 화기의 조합

16세기 초 스페인군 사이에서는 창병과 총병을 결합한 새로운 전술이 등장했어요. 테르시오라고 불리는 이 대형은 장창병으로 구성된 주력 부대 주변으로 소총병과 검병을 배치한 혼성 대형이었죠.

파비아 전투

1525년 파비아 전투에서 테르시오 대형은 그 위력을 유감없이 보여줬어요. 프랑스군 기병대가 스페인군 주력에 돌진하자 좌우의 소총병들이 일제사격으로 응수했죠. 무질서해진 프랑스군 대형으로 스페인군 검병들이 쇄도해 들어가 혼전을 벌였고, 최후의 일격은 창병들의 몫이었어요. 창과 화기가 조화를 이룬 완벽한 승리였죠.

유럽 전역으로 확산

파비아 전투의 성공으로 테르시오 대형은 순식간에 유럽 각지로 퍼져나갔어요. 각국은 앞다퉈 이 대형을 모방했고, 약간의 변형을 가미하기도 했죠. 30년 전쟁 당시에는 사실상 모든 군대가 테르시오식 대형을 운용할 정도였어요.

점진적 쇠퇴

그러나 17세기로 접어들면서 테르시오 대형은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어요. 선조 화기가 개량되고 전술이 발전하면서 테르시오의 약점이 드러났기 때문이죠. 니어란트 전투에서 네덜란드군의 유격전술에 당한 것이 결정타였어요. 네덜란드군은 스페인군 대형에 접근하지 않고 멀찍이 떨어져 기동사격을 가했죠. nimble하고 유연한 전술 앞에서 너무 정형화된 테르시오는 속수무책이었어요.

면(線) 전술의 시대

화기 발전과 전술 변화

17세기 들어 총기 기술이 크게 발전하면서 보병 전술에도 큰 변화가 찾아왔어요. 개량된 소총은 사거리와 정확도, 연사력이 크게 향상되었죠. 이에 따라 전술도 밀집대형에서 분산대형으로 바뀌기 시작했어요.

구스타프 2세 아돌프와 스웨덴 육군

스웨덴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는 변화의 선두에 섰어요. 그는 소총 위주의 분산 대형인 '선형 전술'을 고안했죠. 3-4열로 늘어선 얇은 선형 대형은 기동성과 화력이 뛰어났어요. 30년 전쟁에서 스웨덴군은 이 전술로 브라이텐펠트 전투를 비롯한 여러 승전을 거뒀죠.

유럽 전역에서의 보급

스웨덴군의 전술적 우위는 곧 유럽 각국에 널리 알려졌어요. 선형 전술은 순식간에 대세가 되었죠. 영국군은 내전 시기 뉴 모델 아미를 조직하며 이 전술을 적극 도입했고,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대왕은 정예화된 선형 전술로 강대국의 반열에 올랐어요.

화약 무기 발전에 따른 전술 변화

18세기 들어 화약 무기는 더욱 발전을 거듭했어요. 소총의 성능이 개선되고 신무기들이 등장했죠. 이에 따라 전술도 조금씩 변화했어요. 선형의 두께가 더 얇아지고 분산 배치가 늘어났으며, 유격전과 기동전이 강조되기 시작했죠. 하지만 기본적인 골격은 선형 전술의 연장선상에 있었답니다.

이렇게 중세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보병 전술은 꾸준히 발전하고 진화해 왔습니다. 장궁에서 장창, 화약무기로 이어지는 무기 발달사는 곧 보병 전술 변천사와 궤를 같이 했죠. 기병 중심에서 보병 중심으로, 밀집대형에서 선형대형으로의 변화는 근대 야전 전술의 기틀이 되었답니다. 중세의 보병 전술 역사를 알아보는 것은 군사 발달사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열쇠가 될 거에요.